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운영체제 Day 1
    전공 2023. 3. 6. 18:04

    운영체제. 영어로는 Operating System(이하 OS). 오늘 첫 수업을 들었고 기초적인 내용들에 대해 배웠다.

     

    1. 운영체제란 무엇인가?

    운영체제는 '컴퓨터 사용자'와 '컴퓨터 하드웨어' 사이의 중간자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.

     

    2. 운영체제의 목표는 무엇인가?

    - 유저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, 유저의 문제를 쉽게 해결한다.

    - 컴퓨터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든다.

    -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한다.

     

    ChatGPT says: 자원 관리, 프로세스 관리, 입출력 관리, 파일 관리, 보안 관리

     

    3. 컴퓨터 시스템의 네 가지 구성요소: 

    - 하드웨어(Computer Hardware) : 기본적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.

    - 운영체제(Operating System) :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사용자 간의 하드웨어 사용을 제어하고 조정한다.

    -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(Application Program) : 자원이 사용자의 컴퓨팅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정의한다.

    - 사용자(User) : 클라이언트. 사람이나 기계나 다른 컴퓨터들.

     

    상호작용은 user ↔️ system and application programs ↔️ operating system ↔️ computer hardware 과 같이 일어난다.

     

    4. OS의 역할

    - user 관점에서는 자원에 상관없이 쉽고 편리하고 빠르게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고 싶음.

    - shared computer :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 자원을 공유하는 시스템.

    pros : 높은 자원 이용률, 낮은 비용,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, 유지보수가 쉬움, 접근성이 좋음.

    cons : 한정된 자원. 이로 인해 사용자 간 자원 충돌과 유저의 대기 발생. 공유되기 때문에 Customizability 낮음.

    ex) 서버 컴퓨터, 클라우드 컴퓨팅

     

    - dedicated system : 특정 사용자나 작업을 위해 전용 컴퓨터 자원을 할당하는 시스템.

    pros : 자원 충돌 x, 다른 사용자의 영향 x. 따라서 안정적이고 빠른 처리 가능. 

    cons : 높은 비용, 높은 종속성으로 인한 낮은 확장성과 유연성, 유지보수가 어려움. 커스텀

     

    - handheld computers : 한정된 자원에서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는 컴퓨터

     

    5. OS의 정의

    -모든 운영체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정의는 없다. 만들어내는 측에서 주장하는 게 그 운영체제의 정의가 된다.

    - OS is a resource allocator and program controller.

    운영체제는 자원을 알맞게 배분해주며, 프로그램에서 에러가 나거나 부적절한 이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어한다.

    - 컴퓨터에서 항상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kernel이라고 하며, 나머지는 system program 혹은 application program이다.

     

    6. 부트스트랩 프로그램

    신발끈을 의미하는 bootstrap 은 어떤 일을 시작할 때 꽉 묶어야한다. 하드웨어가 시작할 때 맨 처음 작동하는 프로그램들이며, 메인보드의 ROM이나 EPROM에 저장된다.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